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미국 주식] 장기 투자 전략 시총 1위부터 10위, SPY, QQQ, 뭐가 더 벌었을까? (6배~19배 벌자.)

by 주식 헌터 2025. 2. 3.
반응형

20년 장기 투자, "쩐"의 전쟁! 시총 1위부터 10위, SPY, QQQ, 뭐가 더 벌었을까?

😎 안녕하세요! 오늘은 20년 장기 투자라는 긴 호흡으로, 어떤 전략이 가장 돈을 많이 벌었는지 샅샅이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단순히 수익률만 보는 게 아니라, 분기별 리밸런싱까지 고려한 찐 결과를 알려드릴게요!

🧐 투자의 神만이 살아남는다는 전설의 장기 투자, 과연 어떤 전략이 웃었을까요? 지금 바로 공개합니다!

 

단, 리밸런싱시 발생하는 세금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 링 위의 선수들을 소개합니다: 6가지 투자 전략

이번 대결에 참여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 리밸런싱 시에 거래 및 세금은 반영하지 않았다.

  1. 시총 1위 몰빵: 매 분기 시가총액 1위 기업에 몰빵!
  2. 시총 1, 2위 분산 투자: 시총 1, 2위 기업에 절반씩 투자!
  3. 시총 1~5위 분산 투자: 시총 1위~5위 기업에 20%씩 골고루 투자!
  4. 시총 1~10위 분산 투자: 시총 1위~10위 기업에 10%씩 골고루 투자!
  5. SPY: 미국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미국 대표 500개 기업에 투자!
  6. QQQ: 미국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기술주 중심 100개 기업에 투자!

⏱ 워밍업: 10년 투자 결과 (2013년 11월~2023년 11월)

투자 전략 수익률 10년 후 금액 연평균 수익률 MDD 리밸런싱 횟수
시총 1위 종목 554.43 약 6억 5,443만 20.70% -37.67% 36회
시총 1, 2위 종목 420.59 약 5억 2,059만 17.94% -35.45% 36회
시총 1~5위 종목 385.75 약 4억 8,575만 17.12% -33.78% 36회
시총 1~10위 종목 448.54 약 5억 4,854만 18.56% -33.78% 36회
S&P 500 투자 139.99 약 2억 3,999만 9.15% -19.44% 0회
나스닥 100)투자 285.33 약 3억 8,533만 14.45% -32.83% 0회

10년 투자 결과, 시총 1위 전략이 20.70%의 연평균 수익률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MDD(최대 낙폭)가 -37.67%로 꽤 아찔했네요. 안정성 면에서는 SPY가 -19.44%로 가장 우수했습니다. 10년이라는 시간동안, 다양한 기업들이 엎치락 뒤치락 하며 투자자들의 마음을 졸이게 했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 본 게임: 20년 투자 결과 (2003년 11월~2023년 11월)

투자 전략 수익률 20년 후 예상금액 연평균 수익률 MDD 리밸런싱 횟수
시총 1위 종목 1,472.63 약 15억 7,263만 14.62% -56.68% 76회
시총 1, 2위 종목 1,750.60 약 18억 5,060만 15.65% -50.28% 76회
시총 1~5위 종목 1,660.76 약 17억 6,076만 15.34% -47.62% 76회
시총 1~10위 종목 1,790.72 약 18억 9,072만 15.79% -47.62% 76회
S&P 500 투자 399.03 약 4억 9,903만 8.41% -50.95% 0회
나스닥 100)투자 982.58 약 10억 8,258만 12.58% -53.48% 0회
 

20년 투자 결과, 시총 1~10위 분산 투자 전략이 15.79%의 연평균 수익률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1억을 투자했다면 20년 후 약 18억 9천만 원이 되었겠네요. 🎉 시총 1위 전략은 MDD가 -56.68%로 가장 높았지만, 그럼에도 연평균 수익률은 14.62%를 기록하며 장기 투자의 위력을 보여주었습니다. SPY는 가장 안정적이지만 수익률은 가장 낮았습니다.


⚔️ 20년 전쟁, 시가총액 순위는 어떻게 변했을까?

20년간 미국 주식 시장의 시가총액 순위는 그야말로 "쩐"의 전쟁터였습니다! 엎치락뒤치락하며 수많은 기업이 명멸했죠. 2003년 4분기 GE, 엑슨모빌, 마이크로소프트, 화이자, 월마트가 TOP 5를 차지했지만, 2023년 4분기에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아마존, 엔비디아가 TOP 5를 차지했습니다.

20년간 분기별 시가총액 TOP 10 변화를 한눈에 보고 싶다면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데이터가 방대하여 연도별 4분기(연말) 기준, 변동이 큰 종목만 추려서 표기했습니다.)


 

분기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2003년 4분기 GE 엑슨모빌 마이크로소프트 화이자 월마트 시티그룹 BP AIG 뱅크오브아메리카 인텔
2004년 4분기 엑슨모빌 GE 마이크로소프트 월마트 시티그룹 화이자 P&G 존슨앤존슨 AIG 뱅크오브아메리카
2005년 4분기 엑슨모빌 GE 마이크로소프트 시티그룹 월마트 뱅크오브아메리카 P&G 존슨앤존슨 AIG 화이자
2006년 4분기 엑슨모빌 GE 마이크로소프트 시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 월마트 존슨앤존슨 P&G AT&T 구글
2007년 2분기 엑슨모빌 GE 마이크로소프트 AT&T 뱅크오브아메리카 시티그룹 존슨앤존슨 P&G 월마트 버라이즌
2007년 4분기 엑슨모빌 GE 마이크로소프트 AT&T P&G 존슨앤존슨 쉐브론 JP모건 월마트 구글
2008년 4분기 엑슨모빌 월마트 마이크로소프트 P&G AT&T 구글 존슨앤존슨 IBM 쉐브론 버크셔 해서웨이
2009년 4분기 엑슨모빌 마이크로소프트 월마트 버크셔 해서웨이 P&G AT&T 존슨앤존슨 JP모건 구글 IBM
2010년 4분기 엑슨모빌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버크셔 해서웨이 월마트 IBM 쉐브론 AT&T 존슨앤존슨 P&G
2011년 2분기 엑슨모빌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IBM 버크셔 해서웨이 쉐브론 구글 월마트 AT&T 존슨앤존슨
2011년 4분기 애플 엑슨모빌 IBM 쉐브론 월마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AT&T 버크셔 해서웨이 존슨앤존슨
2012년 2분기 애플 엑슨모빌 IBM 월마트 마이크로소프트 쉐브론 구글 AT&T 존슨앤존슨 P&G
2012년 4분기 애플 엑슨모빌 월마트 마이크로소프트 존슨앤존슨 웰스파고 버크셔 해서웨이 쉐브론 GE P&G
2013년 4분기 애플 엑슨모빌 마이크로소프트 존슨앤존슨 버크셔 해서웨이 월마트 웰스파고 쉐브론 GE 구글
2014년 4분기 애플 엑슨모빌 마이크로소프트 존슨앤존슨 버크셔 해서웨이 월마트 웰스파고 쉐브론 GE P&G
2015년 4분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버크셔 해서웨이 엑슨모빌 존슨앤존슨 웰스파고 구글 월마트 GE 아마존
2016년 4분기 애플 알파벳(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엑슨모빌 버크셔 해서웨이 페이스북(현 메타) 존슨앤존슨 JP모건 웰스파고
2017년 2분기 애플 알파벳(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현 메타) 버크셔 해서웨이 존슨앤존슨 JP모건 엑슨모빌 텐센트
2017년 4분기 애플 알파벳(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현 메타) 버크셔 해서웨이 존슨앤존슨 JP모건 텐센트 엑슨모빌
2018년 2분기 애플 알파벳(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현 메타) 버크셔 해서웨이 JP모건 존슨앤존슨 텐센트 알리바바
2018년 4분기 애플 알파벳(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현 메타) 버크셔 해서웨이 JP모건 존슨앤존슨 알리바바 텐센트
2019년 4분기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알파벳(구글) 페이스북(현 메타) 버크셔 해서웨이 알리바바 JP모건 존슨앤존슨 비자
2020년 2분기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알파벳(구글) 페이스북(현 메타) 버크셔 해서웨이 알리바바 존슨앤존슨 비자 월마트
2020년 4분기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애플 알파벳(구글) 페이스북(현 메타) 테슬라 버크셔 해서웨이 비자 존슨앤존슨 JP모건
2021년 4분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아마존 테슬라 엔비디아 버크셔 해서웨이 메타(페이스북) JP모건 존슨앤존슨
2022년 2분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아마존 테슬라 버크셔 해서웨이 존슨앤존슨 TSMC 유나이티드헬스 엑슨모빌
2022년 4분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아마존 테슬라 버크셔 해서웨이 엔비디아 엑슨모빌 존슨앤존슨 JP모건
2023년 2분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 버크셔 해서웨이 메타(페이스북) 엑슨모빌 존슨앤존슨
2023년 4분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 메타(페이스북) 버크셔 해서웨이 엑슨모빌 브로드컴

🎯 결론: 장기 투자, 전략과 끈기가 핵심!

2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시총 1~10위 분산 투자 전략이 가장 좋은 성과를 보여줬습니다. 분산 투자의 힘을 증명한 셈이죠! 💪 하지만, 높은 수익률을 쫓는다면 그만큼 변동성도 크다는 점(MDD 주목!) 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결국, 장기 투자의 성공은 엉덩이 싸움입니다! 어떤 전략을 선택하든, 자신만의 투자 원칙을 세우고 꾸준히, 끈기 있게 밀고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Disclaimer: 본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니며, 과거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투자 결정은 신중하게 내려야 합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댓글✍️ 부탁드려요! 여러분의 성공 투자를 기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