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 헌터입니다!
최근 빌 애크먼의 13F 공시에서 2024년 3분기, 4분기 연속으로 매수한 종목 나이키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글로벌 스포츠웨어 시장을 이끄는 NIKE(나이키)에 대해 심층 분석해보겠습니다. 과연 지금이 매수 타이밍인지 함께 살펴보시죠!
1. 기업 개요 & 주요 비즈니스 모델
- 회사명: NIKE, Inc.
- 업종: 스포츠웨어(신발, 의류, 액세서리 등)
- 설립연도: 1964년(Blue Ribbon Sports로 시작, 1971년 NIKE로 사명 변경)
- 주요 제품/서비스: 운동화, 스포츠 의류, 스포츠 액세서리 등
- 시장 점유율: 글로벌 스포츠웨어 시장 1위권 유지
투자 포인트
뛰어난 브랜드 파워: 전 세계적으로 높은 브랜드 인지도
글로벌 리테일 채널 확대: D2C(Direct-to-Consumer) 전략을 통한 수익성 개선
스포츠 마케팅: 유명 선수와 팀 스폰서십,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소비자 충성도 확보
2. 실적 분석 (최근 3년)
구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매출액 | 약 $445억 | 약 $467억 | 약 $512억 |
영업이익 | 약 $72억 | 약 $69억 | 약 $62억 |
순이익 | 약 $57억 | 약 $60억 | 약 $50억 |
영업이익률 | 16.2% | 14.7% | 12.2% |
ROE | 40% 내외 | 44% 내외 | 35~38% 내외 |
(FY 기준: 나이키는 매년 5월 말 결산 기준으로 회계연도가 마무리됩니다.)
포인트
매출 및 이익의 꾸준한 증가세였지만,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과 물류비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률 하락
ROE는 업계 상위권 유지하며, 자본 효율성은 여전히 높음
3. 최근 이슈 & 호재/악재 분석
🔥 호재
- D2C(Direct-to-Consumer) 전략 강화: 온라인·자체 매장에서 높은 수익률 확보
- 지속가능성 트렌드 선도: 친환경 소재, 재활용 제품 확대 및 ESG 경영 강화
- 스포츠 이벤트 수혜: 대형 스포츠 경기(올림픽, 월드컵 등) 시즌에 브랜드 인지도 상승
⚠️ 악재
- 소비 심리 위축: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의류·신발 소비 침체 가능성
- 경쟁 심화: Adidas, Puma 등 경쟁사와의 마케팅 경쟁 비용 증가
- 원자재 가격 상승: 원가 부담 상승으로 이익률에 부담
4. 주가 흐름 & 기술적 분석
- 현재 주가: 약 $120 내외 (변동 가능)
- 52주 최저/최고가: $82 / $131
- PER: 약 32배, PBR: 약 10배 내외
차트 분석 (예시 그래프)

- 이동평균선(5일, 20일, 60일 기준) 수렴 여부 확인
- RSI: 중립 수준으로 과매수·과매도 국면 둘 다 아님
- MACD: 단기적으로 매수 신호가 약하게 나타남(다만 경기 변동성에 유의)
기술적 관점
- 단기 저항선은 $77~$80 구간으로 보임
- 주가가 이 구간을 돌파하면 추가 상승 가능성 있으나, 경기 침체 우려 시 눌림목 가능성도 존재
5. 전문가 의견 & 목표주가
애널리스트 관점
글로벌 소비 회복세에 따른 매출 성장 기대
단, 비용 구조 관리와 중국·북미 시장 판매 회복 여부가 중요한 모멘텀
6. 결론 – 지금 매수해야 할까?
투자 전략 요약
단기 투자:
매수 관점: 단기적으로 실적 발표 시즌에 호재가 있으면 주가 상승 여지
관망 요인: 경기 불확실성 및 원자재 가격, 공급망 문제 지속 주시
중장기 투자:
성장 잠재력: 브랜드 파워와 D2C 비즈니스 성장으로 꾸준한 매출 확대 가능
리스크: 경쟁 심화와 소비 심리 위축 상황에서 이익률 방어 여부 확인 필요
개인적인 의견
“NIKE는 스포츠웨어 시장의 성장성과 브랜드 경쟁력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 유망해 보입니다. 다만, 글로벌 경기 변동성에 따라 단기적으로 주가가 출렁일 수 있어 분할 매수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7. 기타
- 호카(Hoka)·온러닝(On Running)은 러닝화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신흥 경쟁 업체로, 차별화된 기술력과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 나이키(NIKE)는 글로벌 스포츠웨어 1위 브랜드로서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막강한 마케팅 파워를 보유하고 있으나, 러닝화 시장 내에서는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 투자 관점에서는 각 브랜드의 연구·마케팅 투자, 프리미엄 라인 확대 동향, 소비자 트렌드 등을 주시해야 합니다.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한국에서 S&P500 ETF 투자 (feat. 연금저축, IRP, ISA도 가능) (2) | 2025.02.27 |
---|---|
[미국 주식] 오늘의 최신 뉴스(2025.02.26) (4) | 2025.02.26 |
[미국 주식] 주간 요약 (2월 17일 ~ 2월 23일) (2) | 2025.02.24 |
[미국 주식] 13F 빌 애크먼 2024년 4분기 (2) | 2025.02.23 |
[미국 주식] 하락 패턴 총정리: 지난 20년 미국 증시 5%, 10%, 20%는 얼마나 자주? (15)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