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투자 시 국내 상장 해외 ETF와 해외 상장 ETF는 세금 부과 방식이 다릅니다.
단순히 “해외 지수를 추종하니까 똑같겠지?“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잘못 투자하면 예상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낼 수도, 혹은 절세 기회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국내 vs 해외 상장 ETF의 세금 차이를 양도소득세·배당소득세·절세 전략까지 완벽 정리해보겠습니다.
국내 상장 해외 ETF vs 해외 상장 ETF 차이점
구분 | 국내 상장 해외 ETF | 해외 상장 ETF |
거래소 | 한국 거래소(KRX) | 미국(NYSE, NASDAQ) 등 해외 거래소 |
매매 차익 과세 | ❌ 양도소득세 없음 (배당소득세로 과세) | 양도소득세 22% (250만 원 기본공제 적용) |
배당금 과세 | 배당소득세 15.4% | 배당소득세 15.4% |
금융소득종합과세 | 연 2,000만 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 적용 | 연 2,000만 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 적용 |
손익통산 | ❌ 불가능 | 가능 (다른 해외 주식과 통산 가능) |
신고 방식 | 자동 원천징수 (신고 불필요) | 직접 세금 신고 필요 (5월 종합소득세) |
종목 예 | TIGER S&P500, KODEX 나스닥100등 | SPY, QQQ,VOOO |
간단 정리:
✔ 국내 상장 해외 ETF → “매매 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 없음” (배당소득세 부과)
✔ 해외 상장 ETF → “매매 차익은 양도소득세 22% 적용” (250만 원 기본공제 가능)
✔ 배당금 세금(15.4%)은 동일!
어떤 ETF가 더 유리할까? (투자자 유형별 선택 가이드)
투자자 유형 | 추천 ETF 유형 | 이유 |
소액 투자자 (연 금융소득 2,000만 원 이하) | 국내 상장 해외 ETF | 금융소득종합과세 부담 없음 |
장기 투자자 (큰 시세 차익 기대) | 해외 상장 ETF | 양도세 부담 있지만 기본공제 & 손익통산 가능 |
배당 중심 투자자 | 해외 상장 ETF | 국내 ETF도 배당소득세는 동일하지만, 매매차익까지 포함돼 더 불리 |
고액 투자자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 | 해외 상장 ETF | 국내 ETF는 금융소득종합과세 위험 큼 |
절세 꿀팁: ETF 세금 줄이는 법!
1)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활용
• 국내 상장 ETF 투자 시 수익 최대 200만 원(서민형 400만 원)까지 비과세
• 초과분도 9.9% 분리과세 (금융소득종합과세 제외됨)
• 고액 자산가일수록 ISA 필수!
2) 연금저축·IRP 활용 (연금계좌 ETF 투자)
• ETF 투자 수익 과세 이연 (연금 수령 시점까지 세금 유예)
• 연금 수령 시 3.3~5.5% 낮은 세율 적용 (최대 900만 원 세액공제 가능)
3) 해외 상장 ETF는 매도 시점 조절 (연 250만 원 기본공제 활용)
• 해외 ETF는 양도소득세 22% 적용되지만, 기본공제 250만 원 있음
• 연말에 일부만 매도해 과세 기준을 조절하는 전략 활용
결론: 국내 vs 해외 ETF, 세금까지 고려한 투자 전략은?
1️⃣ “양도세 피하고 싶다!” → 국내 상장 해외 ETF (TIGER S&P500, KODEX 나스닥100 등)
2️⃣ “세금 전략 짜서 절세하고 싶다!” → 해외 상장 ETF (SPY, QQQ, VOO 등)
3️⃣ “ISA·연금저축 활용해서 세금 줄이고 싶다!” → 국내 ETF + ISA 조합 추천
4️⃣ “고액 자산가라 금융소득종합과세 피하고 싶다!” → 해외 ETF 투자 고려
ETF 투자는 단순 수익률만 볼 게 아니라, 세금까지 고려해야 진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